고혈압: 혈압이 높은 경우를 의미. 높은 혈압은 심혈관계 손상 및 표적장기 손상 등을 유발할 수 있어 적극적으로 치료해야함
※ 혈압 = 1회 박동시 분출용량(SV)) × 박동수(HR) × 말초혈관저항(PVR)
- 혈압 변화는 심박출량[CO(SV × HR)] 및 말초혈관저항, 교감신경, RAAS, 각종 호르몬(갑상선hr, vasopressin, cortisol) 등의 상호작용에 의해 조절
수축기혈압(mmHg) | 이완기혈압(확장기혈압) | |
정상혈압 | 120 미만 | 80 미만 |
주의혈압, 고혈압전단계 | 120~139 | 80~89 |
1기 고혈압 | 140~159 | 90~99 |
2기 고혈압 | 160이상 | 100이상 |
수축기 단독 고혈압 | 이완기 혈압이 90 미만이면서 수축기 혈압이 140 이상인 경우 |
※ 약물치료 지침
- 고혈압 전단계(130/80 이상): 일반적으로 생활요법으로 혈압 교정.
- 약물치료 해야할 경우: 기저질환으로 당뇨병, 만성콩팥병(신장질환), 심뇌혈관 질환이 있는 경우
- 1기 고혈압: 일반적으로 약물치료를 시작(단일제로 시작)
- 심혈관계 위험인자가 없는 경우 생활요법으로 혈압 교정을 시도 후 안될 경우 약물치료
- 심혈관계 위험인자: 나이(남성 45세, 여성 55세), 흡연, 가족력, 당뇨수치, 콜레스테롤 수치, 비만정도 모두 정상의 범주에 속할 경우
- 2기 고혈압(혈압 160이상): 약물치료 시작(치료 시작부터 두 약물의 병용요법 권장)
※ 고혈압 원인
- 약90- 95%는 원인불명의 1차성 고혈압
- 이외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경우
- 기저질환: 신장질환자(콩팥실질병 등), 크롬친화세포종, 갑상선질환, 수면무호흡증 등
- 약물관련: 만성스테로이드 치료환자, 과도한 음주, 식욕억제제(phentermine 등), 마약, 면역억제제(사이클로스포린, 타크로리무스), EPO(에리스로포이에틴), NSAIDs(소염진통제), 경구피임약, 비충혈제거제(슈도에페드린 등), 한약(마황 등)
※ 고혈압 치료지침에 따른 생활요법
- 체중 감량, 운동, 식사조절, 절주: 체중 1kg 감소 시 1.1/0.9 mmHg 혈압 감소
- 소금섭취 제한: 하루 소금 6g 이하
고혈압 치료에 사용되는 1차 고혈압 약제: ACEI, ARB, Thiazide 이뇨제, CCB, 베타차단제
- 처음 고혈압 약물치료를 시작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위의 다섯가지 범위의 약물들 중 하나의 약물 투약 시작
- 단일제로 혈압조절이 되지 않거나 2기 고혈압, 그밖의 담당의의 판단에 따라 병용 요법을 진행
- 2제이상의 약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다섯가지 약제들중 선택. 환자의 세부사항, 의사선셍님의 선호도에 따라 다섯가지중 적절한 약물로 약물치료를 시작합니다. (ACEI, ARB는 병용금기)
1. ACEI: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,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
- 기전: RAAS중 angiotensin I이 angiotensin II로 전환되는 과정을 억제. 알도스테론 방출 억제, 혈관수축 및 수분저류 억제 등 혈압 강하 및 혈관확장 유발
- 혈압 뿐 아니라 심부전, 관상동맥 질환, 당뇨, 만성 콩팥병, 뇌졸중 병력 등 다양한 심뇌혈관 질환에 고루 사용하는 약물(혈압뿐 아니라 다른 신질환, 심질환이 동반한 환자에 자주 사용)
- 동양인의 경우 마른기침 부작용이 상대적으로 빈번하게 발생해 국내에서 단순 고혈압인 경우 ARB에 비해 선호도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음
- 주요 부작용: 마른기침, 급성신부전, 고칼륨혈증, 피부발진, 혈관부종
- 임부금기
- 대표성분 및 제품명
- Lisinopril(제스트릴), Ramiril(트리테이스), Enalapril(에나프린, 레니프릴 등), Perindoril(아서틸), Alacepril(세타프릴), Captopril(카프릴) 등
2. ARB: Angiotensin Receptor Blocker, 안지오텐신수용체 차단제
- 기전: RAAS 중 angiotensin II Type 1 (AT1) 수용체 차단. 알도스테론 방출 억제, 혈관수축 및 수분저류 억제 등 혈압 강하 및 혈관확장 유발
- 고혈압에 있어서 ACEI 비슷한 약효를 나타내나 마른기침 부작용이 거의없어 단순 고혈압인 경우 1차 약제 중에서도 우선 선택되는 경우가 많음
- 주요 부작용: 급성신부전, 고칼륨혈증, 피부발진, 혈관부종
- 임부금기
- 대표성분 및 제품
- Valsartan(디오반), Losartan(코자), Olmesartan(올메텍), Telmisartan(미카르디스), Irbesartan(아프로벨), Candesartan(아타칸), Eprosartan(테베텐)
3. Thiazide 이뇨제
- 기전: 원위세뇨관의 Na/Cl cotransport 억제. 미네랄 재흡수를 저해하여 소변 재흡수를 억제시켜 콩팥에서 여분의 나트륨과 수분 배설을 돕고 말초혈관저항을 지속적으로 감소시켜 혈압저하 효과를 유지
- ACEI, ARB 등에 비해 임상데이터가 많이 쌓인 약제(역사가있는 약제)로 가장 흔히 처방되는 항고혈압제제 중 하나
- 주요 부작용: 저칼륨혈증, 저마그네슘혈증, 고칼슘혈증, 고혈당, 고요산혈증, 지질대사이상 등
- 대표성분 및 제품
- Hydrochlorothiazide(HCTZ, 다이크로짇), Indapamide(나트릭스서방정, 다피드정)
- 항고혈압제 병용요법을 사용하는 경우 ARB/Thiazide 복합제를 많이 처방됨
- Candesartan/HCTZ(아타칸플러스, 칸데모어플러스 등), Irbesartan/ HCTZ(코아프로벨), Olmesartan/HCTZ(올메텍플러스) 등
4. CCB: 칼슘채널차단제
- 기전: 심근과 평활근의 칼슘유입을 억제하여 관상동맥 및 말초혈관 확장으로 인한 혈압조절
- DHP 계열과 non-DHP 계열로 나뉨
- DHP(Dihydropyridine):
- Amlodipine(노바스크), nifedipine(아달라트) 등 ~dipine 성분의 약물
- 심박수를 낮추는 효과는 없으며 혈관확장 효과가 있음.
- 고혈압 1차 치료제 중 수축기 단독 고혈압을 가진 노인들에 있어 심혈관질환 예방에 효과가 두드러짐
- 주요 부작용: 어지러움, 두통, 홍조, 말초부종 등
- 항고혈압제 병용요법을 사용하는 경우 ARB/amlodipine 복합제를 많이 처방
-
- Losartan/amlodipine(아모잘탄), Valsartan/amlodipine(엑스포지) Olmesartan/amlodipine(뉴비카) 등
-
- non-DHP:
- verapamil(이솦틴), diltiazem(헤르벤)
- 혈관확장 뿐 아니라 심박수를 낮추는 효과가 있어 고혈압 뿐 아니라 심방세동 치료제로도 활용
- 주요 부작용: 변비, 식욕부진, 메스꺼움, 말초부종, 저혈압, 심부전 악화 등
5. 베타차단제(beta blocker, BB)
- 기전: 교감신경계중 β 수용체를 차단. 심근 수축력, 심박수 감소 및 레닌 유리 억제(RAAS 중 첫 단계).
- 고혈압 치교과정에 있어 국내에서는 1차치료제 중 하나로 사용하고 있지만, 미국(JNC), 영국(NICE) 등 해외에서는 1차치료에서 배제되는 경우가 많음.
- 권장되는 병용요법에서도 베타차단제보다는 ACEI(ARB), CCB, Thiazides 중 두가지 약물을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
- 다른 심혈관계 기저질환이 동반한 경우 항고혈압 약제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음(post-MI, CAD, 좌심실부전 등)(그렇다고 단순고혈압에 1차치료제로서 사용하지 않는것은 아님)
- β수용체의 경우 β1, β2, β3의 subtype로 나눌 수 있음. β1수용체가 심장. β2(기관지, 말초 혈관, 자궁), β3(비뇨기, 지방조직)
- 베타차단제의 경우 β수용체의 subtype 선택성이 없는 약물, 선택성이 있는 약물로 나눠 약물의 세대를 나눔. 현대의학에서는 주로 항고혈압제로는 β1선택성이 있는 2세대 약물 및 α1수용체도 함께 차단하는 3세대 약물을 사용.
- 1세대 베타차단제:propranolol(인데놀. 선택성x, 지용성이 커 CNS로 투과큼)
- 2세대 베타차단제: atenolol(테놀민), bisoprolol(콩코르), metoprolol(베타록), nebivolol(네비레트, NO분비, 혈관확장), betaxolol(켈론), celiprolol(셀렉톨) 등
- 3세대 베타차단제: Carvedilol(딜라트렌, 비선택적 β 차단 및 α1 차단)
- ISA(Intrinsic Sympathomimetic Activity, 내인성 교감신경 흥분작용) 약물: 베타차단제(교감신경억제)중 부분적으로 교감신경 흥분작용이 있는 약물.
- 서맥, 심박출량 감소가 우려되는 환자의 경우 ISA가 있는 약물이 이점이 있을 수 있음.
- Carteolol(미케란), Penbutolol, Pindolol, Acebutolol
- 베타차단제 주요 부작용: 서맥, 인슐린 감수성 저하(혈당상승), 저혈당 증상 은폐, 이상지질혈증, 성기능 부전 등
- 갑자기 복용 중단할 경우 반동성 고혈입이 발생할 수 있음. 1~2주에 걸쳐 용량을 감소 후 중단해야함.
저항성 고혈압의 약물치료
- 이뇨제를 포함하고 작용기전이 다른 항고혈압약을 3가지 이상 병용하여 각각의 용량을 최대한 사용하여도 혈압이 140/90 mmHg 이하로 조절되지 않는 경우
- 원인: 환자의 순응도 부족, 비만, 과도한 음주, 염분 섭취과다, 고혈압 유발 약물 등
- 약물치료:
- 3가지 서로 다른 기전의 약 충분한 용량 + 이뇨제 용량 증량 혹은 교체
- 콩팥기능이 저하되어 있으면 Thiazide계 이뇨제 대신 Loop계 이뇨제(라식스 등)를 사용
- 혈압조절을 위한 추가 약물: spironolactone(스피락톤), amiloride(아미로), doxazosin(독사조신)
고혈압성 긴급상황, 응급상황
1. 고혈압성 응급상황(hypertensive emergency)
- 180/120 mmHg 이상인 경우
- 표적장기 손상 예방을 위해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(즉시 응급실 가야함)
- 주사제(nitroglycerin, hydralazine, diazoxide, sodium nitroprusside, labetalol, esmolol)사용
2. 고혈압성 긴급상황(hyertensive urgency)
- 180/120 mmHg 이상이지만 표적장기 손상이 우려되지 않는 경우(수시간 이내 치료)
- 응급상황만큼 치료가 급하지 않아서 경구용 고혈압제제 사용 가능(일반병원 오픈시간인 경우 일반병원가도 됨)
- captopril, labetalol, clonidine 등 사용
특정 환자군에서의 고혈압 약물치료
1. 전립선비대증을 동반한 고혈압환자: 알파차단제[Doxazosin(독사조신), Terazosin(하이트린)
2. 임신성 고혈압
- 혈압이 160/110 mmHg 이상인 중증 고혈압인 경우 약물사용
- Labetalol(라베신, 베타신 주사제), Nifedipine(아달라트), Hydralazine(하이드랄라진), Methyldopa 사용 가능.
- ACEI, ARB 금기
3. 65세 이상 노인환자
- 수축기 단독 고혈압환자가 많음
- Thiazide 이뇨제(다이크로짇 등)가 1차 치료제로 권장. ACEI, ARB, CCB 등도 사용 가능.
4. 당뇨병을 동반한 고혈압환자
- ACEI 혹은 ARB를 일차적으로 권고하며 많은 경우 두가지 이상의 약제가 병용됨
- ARB(ACEI) ± (CCB, Thiazide, BB)
5. 뇌줄중 예방을 위한 혈압조절
- 140/90 mmHg 미만으로 유지하는 것을 권고
- 일차예방으로는 ARB, ACEI, CCB를 일차적으로 권고
- 이차예방(뇌줄중 경험이 있음): ACEI(ARB) + 이뇨제
6. 만성콩팥병(CKD)을 동반한 고혈압환자
단백뇨를 동반한 경우 ACEI 혹은 ARB를 일차적으로 권고
약국 고혈압약(일반의약품), 영양제
1. 우황청심원: 조선시대의 뇌줄중 구급약
- 효능효과
- 고혈압, 두근거림, 인사불성, 뇌졸중, 정신불안, 급만성경풍, 자율신경실조증
- 우황청심원의 성분 중
- 우황: 청심작용(심장의 열을 삭힘)으로 혈압을 낮추는데 도움을 줌
- 사향: 혈관확장 효과
- 우황청심원은 청심작용 및 혈류개선으로 고혈압 긴급상황, 뇌졸중 전조증상, 자율신경실조증(어지러움) 등에 복용해 볼 수 있는 일반의약품
- 만성적으로 혈압관리를 위해 복용하기 보다는 응급상황시 복용하는 것을 권함
- 근처에 병원이 없어 병원가는 길이 멀 경우 약국에서 우황청심원을 구매해 복용후 응급실을 갈 수 있도록 복약지도
2. 폴리코사놀20(폴리코사놀-사탕수수왁스알코올(총 지방족 알코올 18mg))
- 콜레스테롤 수치 개선 및 혈압조절 기능성을 인정받은 건강기능식품
- 인체 적용 시험에서 폴리코사놀-사탕수수왁스알코올 20mg을
- 4주간 매일 꾸준히 섭취했을 때 HDL(좋은 콜레스테롤) 29.9% 증가, LDL(나쁜 콜레스테롤)22% 감소확인
- 12주간 섭취했을 때 수축기 혈압이 7.7% 감소했음을 확인
- 고콜레스테롤 혈증 및 고혈압 환자의 경우 권해볼만한 건강기능식품
3. 코큐텐(코엔자임큐텐, 코엔자임Q10, COQ10, 유비퀴) 100mg
- 혈압, 당뇨, 고지혈증, 항산화, 피로에 두루 좋은 건강기능식품
- 고혈압 환자 80명을 대상으로 200mg의 코엔자임Q10을 섭취한 그룹에서 수축기혈압이 유의적으로 감소했다는 연구 결과가 있음 (높은 혈압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음)
- 고지혈증 등 만성질환 전문의약품을 꾸준히 복용하는 경우 인체내 CoQ10이 고갈될 수 있음
- CoQ10 10mg: 일반의약품 / CoQ10 100mg: 건강기능식품. 일반의약품은 피로회복 및 항산화효과에 초점. 혈압관련 영양제를 찾는 겅우 고함량 제품인 건강기능식품이 더 적합
- 평소 만성질환으로 의약품을 복용중이라면 권해볼만한 건강기능식품
Ref)
1. 최신 임상약료학
2. 약학정보원